전체 글 328

기독여성운동과 나의 삶 이야기

기독여성운동과 나의 삶 이야기 한국염 2022년 7월 7일 한국기독교회관 조에홀에서 “기독교 에큐메니컬 여성운동의 어제와 오늘”이라는 주제로 기독교민주화운동 역사정리를 위한 집담회가 열렸다. 이 집담회는 사단법인 ‘한국기독교민주화운동’가 주최한 것이다. 주제발제를 한 이문숙 목사는 이 시기 기독여성들의 민주화운동을 소개하면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교회/기독교여성 에큐메니칼 운동은 60∼80년 민주화 인권운동에서, 에큐메니칼 운동의 쥬류 남성 지도자들의 주변적 존재가 아니라 운동의 주체로 고유한 영토를 개척했다. 기독교여성운동은 가부장제 하에서 강요되어온 수동적 역할을 벗고 민주화운동의 주체로서 의미있는 영역을 구축했다. 민주화 인권운동을 주도해 사회에 위로와 용기를 준 교회 에큐메니칼 운동이 기독교 여..

나의 이야기 2023.08.01

어두움 후에 빛이 오며

향린교회는 내 모교회와 같은 곳입니다. 1971년 안병무교수님의 부름으로 신학교 3학년 때 와서 어린이교회학교를 시작하였고, 1987년 독일로 공부하러 가기까지 16년을 향린교회에 몸담았습니다. 독일에서 돌아와 남편과 같이 창신동 산동네 빈민촌에 있는 청암교회에서 민중목회를 시작해 향린을 떠났습니다. 어린이주일학교 제자였던 김지원목사가 제 후임으로 청암교회에서 목회하고 있는 것도 향린이 맺어준 인연이기도 합니다. 이 시간을 빌어 특별히 향린교회 여신도회에 감사드립니다.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에 다녀간 지원을 해주셔서 이 땅의 이주여성들과 함께 하는데 큰 힘이 되었습니다. 이런 연대가 계속되었으면 하는 바람도 있습니다. 오늘은 한국에 있는 장로교가 함께 드리는 여신도주일입니다. 여신도주일은 1937년 총회에서..

여성 설교 2023.04.15

기독여성운동과 나의 삶 이야기

기독여성운동과 나의 삶 이야기 한국염 2022년 7월 7일 한국기독교회관 조에홀에서 “기독교 에큐메니컬 여성운동의 어제와 오늘”이라는 주제로 기독교민주화운동 역사정리를 위한 집담회가 열렸다. 이 집담회는 사단법인 ‘한국기독교민주화운동’가 주최한 것이다. 주제발제를 한 이문숙 목사는 이 시기 기독여성들의 민주화운동을 소개하면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교회/기독교여성 에큐메니칼 운동은 60∼80년 민주화 인권운동에서, 에큐메니칼 운동의 쥬류 남성 지도자들의 주변적 존재가 아니라 운동의 주체로 고유한 영토를 개척했다. 기독교여성운동은 가부장제 하에서 강요되어온 수동적 역할을 벗고 민주화운동의 주체로서 의미있는 영역을 구축했다. 민주화 인권운동을 주도해 사회에 위로와 용기를 준 교회 에큐메니칼 운동이 기독교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