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시대, 성서를 통해본 고향과 이주민 다문화시대, 성서를 통해본 고향과 이주민 한국염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대표, 목사 1. 자기 고향을 떠나는 이주민들 1) 왜 사람들은 자기 고향을 떠나 이주를 하는가? 이주민들이 싫어하는 물음 중의 하나가 “당신, 어느 나라 사람이냐?” 또는 “어느 나라에서 왔느냐?”하는 물음이라.. 여성의 눈으로 신학 2019.03.23
하나님의 이름을 지어 부른 하갈 하나님의 이름을 지어 부른 하갈 하갈 이야기 옛날에 두 여자가 있었다. 한 사람은 주인이었고, 한 사람은 종이었다. 불행하게도 주인은 아이를 낳지 못했다. 아직도 자식을 낳아 대를 이어야 한다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 당시에 자식을 낳아 대를 잇지 못하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였다. .. 여성의 눈으로 신학 2019.03.22
결혼 이주여성의 인권, 룻기에서 길을 찾다. 결혼 이주여성의 인권, 룻기에서 길을 찾다. 한국염/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대표 1. 들어가는 말 요즈음 한국에서 가족과 관련하여 가장 뜨는 용어가 ‘다문화가족“이라는 말이다. 정작 다문화가족의 핵심내용이 무엇인지, 또 그 가족의 구성주체인 여성결혼이민자나 그 가족은 소외된 .. 여성의 눈으로 신학 2019.03.22
이주 여성에 대한 성서적 응답 이주 여성에 대한 성서적 응답 구약에서는 외국인에 대한 우호적 입장과 차별적 입장이 이중적으로 드러난다. 왕조 중엽까지는 유대인과 이방인과의 결혼까지도 허용하는 분위기였으나 왕국 몰락과 예루살렘 복구 과정에서 배타적인 입장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눈으로 신학 2018.04.04
고멜, 호세아를 변화시켜 하나님의 본 모습을 알게 하다. 고멜, 호세아를 변화시켜 하나님의 본 모습을 알게 하다. 한국염 해마다 이맘대가 되면 ‘ 아 광주여, 영원한 광주여’라는 시가 생각이 난다. 해마다 이맘 때가 되면 광주는 서서히 달어오르기 시작한다. 우리가 알다시피 1980년 광주민중항쟁 사건이 일어났을 때 그 광주사건은 항쟁이 아.. 여성의 눈으로 신학 2018.04.04
문화를 개혁하는 여성 문화를 개혁하는 여성 한국염 (한국여신학자협의회 총무) 들어가는 말 문화를 개혁하는 여성이라는 제목에는 두 가지 전제가 있다. 하나는 지금의 문화가 잘못되었기 때문에 개혁을 해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여성이 개혁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요청이다. 그러면 오늘의 문화는 .. 여성의 눈으로 신학 2018.04.04
생태신학의 흐름과 대안 생태신학의 흐름과 대안 한국염(한국여신학자협의회 총무, 교회협 여성위원) 1. 생태신학에 대한 요청 “우리는 이 땅에 죽음을 불러일으키는 공해산업이 폐기되고 생명을 북돋아 주는 평화산업이 일어나기를 촉구합니다. 우리는 자연환경이 기술문명의 정복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의 삶.. 여성의 눈으로 신학 2018.04.04
주님 가르치신 기도에 나타난 하나님 주님 가르치신 기도에 나타난 하나님 한 국 염 예수님이 가르쳐주신 주기도문은 마태복은 6:9-13절과 누가복음 11:2-4절 두 곳에 나온다. 누가복음의 주기도문은 마태복음 기도문 보다 짧고 압축적이다. 그러나 내용면에서는 두 기도문이 이치하고 있다. 교회 전통은 마태복음 6:9-13절 기도문.. 여성의 눈으로 신학 2018.02.16
기지촌 여성의 고난에 대한 성서적 응답 기지촌 여성의 고난에 대한 성서적 응답 한국염 ‘여성들의 신학하기’에는 여성의 고난을 기억하고 회상하는 일이 중요한 부분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나는 먼저 한 기지촌 여인의 삶을 소개하는 글로 ‘기지촌 여성 윤금이를 기억하며’라는 시편을 소개하고자 한다. ‘윤금이’는 송.. 여성의 눈으로 신학 2018.02.16
결혼예식에 사용되는 신약성서에 대한 단상 여자는 복종하고 남자는 사랑한다? -결혼예식에 사용되는 신약성서에 대한 단상 한국염 나의 결혼식 이야기 결혼할 당시 우리 가정만은 민주가정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입장식부터 평등하게 하겠다고 마음먹고 들러리를 앞 세워 입장하였다. 처음에는 집안에 남자가 없으.. 여성의 눈으로 신학 2018.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