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과 교회-다말, 당신의 잘못이 아닙니다! 다말, 당신의 잘못이 아닙니다! 한국염 오늘 우리가 읽은 본문은 다말이라는 한 여성이 겪은 고난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다말은 다윗의 딸로 공주였으나 이복 오라비 암논에게 성폭력을 당해 그 후유증으로 일생을 비참하게 살아야 했습니다. 다말 이야기는 왜 성폭력이라는 것이 일어나.. 여성현장과 신학 2018.06.25
이주여성, 우리의 자매입니다 이주여성, 우리의 자매입니다. 한국염(이주여성인권센터 대표, 청암교회 목사) 1. 빈곤의 여성화와 이주의 여성화 ㉧전 세계적으로 일 년에 1억 8천 5백 명 이상의 인구가 자기 나라를 떠나 이동을 한다. 이중 65-70%가 생계유지나 새로운 일자리의 추구 등 경제적 이유에서 이주를 한다고 한.. 여성현장과 신학 2018.04.04
한국교회여성들의 선교 모습과 과제 특집 교회개혁과 선교 한국교회 여성들의 선교모습과 과제 한 국 염 들어가면서 교회여성들의 모임에 참석하기 위해 일선교회를 방문하면, 교회 표어 중에 가장 많이 눈에 띄는 것이 “선교하는 교회”이다. 전철 안에서 어깨띠를 두르고 “예수, 천당”을 외치는 전도단이 있는가 하면, .. 여성현장과 신학 2018.04.04
재독한인교회여성협의회 제25주년-폭력없는 세상을 위한 예배- 재독한인교회여성협의회 제25주년 결 단 예 배 -폭력없는 세상을 위한 예배- 인 도 자 : ■ 전주 ---------------------사랑하는 주님 앞에---------------------------반주자 예배로의 부름 - 인도자 인도자: 친구여 오십시오. 하늘 사랑으로 빚은 은총의 그릇에서 미움과 적개심의 찌거기일랑 쏟아버리.. 여성현장과 신학 2018.04.04
일어나 마리아의 찬가를 노래하여라! 일어나 마리아의 찬가를 노래하여라! 한국염 1. 내 삶의 전기 내 꿈은 목사가 되는 것이었다. 어려서부터 내 꿈은 목사가 되는 것이었다. 그런데 1969년에 신학교에 가보니 여자는 목사가 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사실 당시에 여목사가 없는 것은 알고 있었다. 실력이 없어서 여성목사가 없.. 여성현장과 신학 2018.04.04
이주여성의 현황과 한국교회의 선교과제 이주여성의 현황과 한국교회의 선교과제 한국염(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대표, 청암교회 목사) 들어가는 말 “너희는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라”고 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당부에 따라 한국교회는 세계 교회 선교에 열심히 임하고 있다. 이렇게 해외선교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굳.. 여성현장과 신학 2018.04.04
생명의 하나님, 우리를 정의와 평화로 이끄소서. 생명의 하나님, 우리를 정의와 평화로 이끄소서. 세계교회협의회(WCC) 제10차 총회(General Assembly)가 “생명의 하나님, 우리를 정의와 평화로 이끄소서”(God of Life, Lead Us to Justice and Peace) (사 42:1~4)란 주제로 2013년 10월 30일부터 11월 8일까지 한국 부산에서 열립니다. 부산총회는 1961년 뉴델리.. 여성현장과 신학 2018.04.04
기독여성 평화통일운동 성찰과 전망 기독여성 평화통일운동 성찰과 전망 한국염/전 여성평등위원장 1. 들어가는 말 해방 후 남북 분단 상황에서 한국교회여성들은 전쟁난민으로서, 아니면 이념갈등으로 인한 적개심의 담 내지는 이산가족의 한을 안고 사는 전쟁피해자로서 살거나 아니면 민족분단으로 피폐해진 사람들을 .. 여성현장과 신학 2018.04.04
교회협의회 여성위원회의 역사적 흐름과 진단, 비전 교회협의회 여성위원회의 역사적 흐름과 진단, 비전 한국염 이주여성인권센터대표, 청암교회목사 올해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70주년을 맞는다. 이 시점에서 여성위원회의 과거를 돌아보고 새로운 비전을 내다본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 글은 특별히 자료에 .. 여성현장과 신학 2018.04.04
환경과 여성 환경과 여성 1. 기장여신도회는 70년대 말부터 ‘생명문화 창조운동’을 벌여왔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이 죽음으로 향하고 있는 것을 보면서 죽임이 아니라 생명의 문화로 바뀌어야 한다는 기치 아래서 시작한 운동이다. 이 운동을 시작한 처음 그 당시는 이 땅에서 환경운동이 발돋.. 여성현장과 신학 2018.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