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소녀상이 기다리는 평화 평화의 소녀상이 기다리는 평화 (누가복음 18:1~8) “엄마, 나 집으로 돌아가고 싶어요.” 눈을 감으면 어느 새 나는 내 고향, 평양 집 마루에 앉아 있습니다. 아 달콤한 냄새, 기분 좋은 바람. 해가 뉘엿뉘엿 산꼭대기로 넘어가려는데, 아침 일찍 집을 나선 엄마는 아직 돌아오지 않습니다. .. 여성현장과 신학 2019.03.23
새로운 목회의 파라다임으로서의 여성목회 새로운 목회의 파라다임으로서의 여성목회의 가능성과 딜레마 한국염 청암교회 목사 *새로운 시대의 종교 종교가 한 시대의 문화의 핵을 이루던 지니간 시대와 달리 율법적 종교의 모습은 거부당하고 생명과 인간 사이의 사랑이 종교의 핵을 이룰 것이라고 한다. 특히 21세기는 레져추구.. 여성현장과 신학 2019.03.23
일어나라, 일어나서 평화의 노래를 불러라 일어나라, 일어나서 평화의 노래를 불러라 한국염 청암교회목사, 이주여성인권센터대표 지리산 생명평화의 기도 여정을 들어서다 “이다지도 좋을까, 이렇게 즐거울까! 형제들 모두 모여 한데 사는 일!” ‘이다지도 좋을까, 이렇게 즐거울까 종교 다른 여성들이 모여 함께 생명 평화 위.. 여성현장과 신학 2019.03.23
왜 아직도 양성평등적 교회를 말하는가? 왜 아직도 양성평등적 교회를 말하는가? 한국염/한국기독교장로회 양성평등위원장 1. 나의 이야기 어려서부터 내 꿈은 목사가 되는 것이었다. 그런데 1969년에 신학교에 가보니 여자는 목사가 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사실 당시에 여목사가 없는 것은 알고 있었다. 실력이 없어서 여성목사.. 여성현장과 신학 2019.03.23
한국의 이주여성과 교회여성 제 9과 한국의 이주여성과 교회여성 ●준비: 다양한 색종이 1. 여러 가지 색종이를 예배드리는 중앙에 놓는다. 2. 중앙에서 마음에 드는 색 또는 좋아하는 색종이를 선택하고 왜 그 색깔을 선택했는지 이야기를 나눈다. 3. 옆의 사람과 자신들이 선택한 색을 같이 놓고 색의 조화에 대해서 .. 여성현장과 신학 2019.03.23
“한반도 평화를 위한 시민 사회의 역할” 발제에 대한 토론문 “한반도 평화를 위한 시민 사회의 역할” 두 발제에 대한 토론문 한국염/정의기억연대운영위원장, 한국기독교장로회목사 한국 근대사에서 민주화가 이루어질 때마다 함께 하시고 분단된 한국이 통일되어 백두산에 오를 때까지 함께 하시겠다는 화이트 박사님께 감사인사를 먼저 드립.. 여성현장과 신학 2019.03.22
가나안 땅을 향한 기장여교역자들의 행진 가나안 땅을 향한 기장여교역자들의 행진 -기장여교역자, 그녀들을 기념하며- 한국염/전 기장여교역자협의회 회장 역사학자요, 언론가요, 독립운동가인 단채 신채호선생은 이렇게 말했다. “역사를 망각하는 민족에게는 미래가 없다.” 이 말은 비단 민족 역사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여성현장과 신학 2019.03.22
교회 내 성폭력의 과제와 실태 교회 내 성폭력의 실태와 과제 한국염 목사(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대표, 한국여신학자협의회 전총무) 1. 들어가는 말 세계교회협의회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을 "폭력 극복을 위한 10년"으로 선포하고 교회와 에큐메니칼 협력이 관들에 "폭력 극복을 위한 10년"에 참여하도록 권장하고 .. 여성현장과 신학 2019.03.22
교회는 ‘미투’와 ‘위드유’ 운동, 어떻게 응답해야 할까? “다말, 당신의 잘못이 아닙니다!” -교회는 ‘미투’와 ‘위드유’ 운동, 어떻게 응답해야 할까? 한국염 미투(#Me Too)란 성폭력 피해자가 자신의 피해 경험을 드러냄으로 사회에 만연한 성폭력의 심각성을 알리고, 생존자들에게 “당신은 혼자가 아니며 우리는 함께 연대할 것”이라는 메.. 여성현장과 신학 2019.03.22
여성의 인간화와 해방을 위한 여성목회론 여성의 인간화와 해방을 위한 여성목회론 1.목회란 무엇인가? 1)한국개신교 여성사를 통해 본 여성목회론의 정립 나의 이야기 어려서부터 내 꿈은 목사가 되는 것이었다. 그런데 1969년에 신학교에 가보니 여자는 목사가 될 수 없다는 것이었다.왜 여자가 목사가 못되는지를 알아보았더니 .. 여성현장과 신학 2018.09.03